시장에서 술을 팔고 있는 여성. 매대에 ‘알콜 93%, 인삼심보술’이라는 상표가 붙은 병들이 놓여있다

(참고사진)시장에서 술을 팔고 있는 여성. 매대에 ‘알콜 93%, 인삼심보술’이라는 상표가 붙은 병들이 놓여있다. 2012년 11월 혜산시장에서 촬영. (아시아프레스)

 

◇적발시 교화형까지
북한이 지난 5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밀주제조 및 판매, 음주에 대한 금지령이 내려졌다고 북한 내부 복수의 아시아프레스 취재협력자가 전해왔다. (백창룡)

함경북도에 사는 취재협력자는 지난 8일 통화에서 "현재 술을 팔지 못하게 한다. 5월 1일부터 시장에서 술 파는 것과 개인이 밀주하는 것을 심하게 통제한다"라며 "술을 몰래 만들거나 판 사람이 적발되는 경우, 법적 처벌을 받게 됐다"고 전했다.

금지령의 이유에 대해 취재협력자는 "금지령이 내리게 된 사건이 있었다고 한다. 당중앙위원회 집행위원회인가에서 한 간부가 술을 마시고 참가해, 이런 방침이 떨어졌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이 협력자는 이어 "밀주제조나 술을 마시고 건달을 피우는 자들에 대해 법적 처벌을 가한다는 것과, 엄중한 경우 교화형까지 처한다는 내용"이라며 "이번 방침이 내려진 경위로 보아 꽤 오래갈 것 같다"고 예상했다.

양강도에 사는 취재협력자 역시 "밀주와 음주에 대한 금지령이 '방침'으로 전달됐다. 현재 음주단속을 강하게 하는데, 식당에서도 맥주는 파는데 (그보다 도수가 높은)술은 팔지 못한다"고 전했다.

그 원인에 대해 이 취재협력자는, "평양에서 중앙당 간부가 음주운전을 하다가 어린애들 쳐 아이가 죽었는데, 그래서 음주 금지령이 내렸다는 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금지령이 내려진 이유에 대해서 취재협력자들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금지령이 '방침'으로서 내려왔으니 강한 통제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서 '방침'은 집권자인 김정은의 직접 지시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에서는 각 시, 군 별 '식료품 공장'에서 술을 생산해왔다. 하지만 생산 원료와 전력부족 등의 이유로 현재 공장에서의 생산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주민들은 밀주에 의존하게 됐는데, 공장에서 생산된 술에 비해 알콜 도수가 높아 인기가 좋다.

북한은 1990년대의 '대기근'에 들어서면서부터 식량 낭비를 막고 사회질서 확립을 이유로 밀주제조와 음주의 단속을 강화해 오고 있다. 작년 '인민보안부' 명의로 내놓은 포고문에서 음주 상태로 자전거를 타는 행위에 대해서 지적하기도 했다.

참고를 위해 2013년 7월 1일북한 내부 취재협력자가 보내온 포고문 전문을 게재한다.

다음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