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농물자교류소 “거의 장마당 같아”

당국이 주도하는 국가 양곡유통망은 영농물자교류소를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식량공급소와 량곡판매소가 주로 국가에 의한 공급을 위한 유통체계라면, 영농물자교류소는 개인이나 농장, 기업소들 간 교환을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영농물자교류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법률을 통해 알 수 있는 바는 많지 않다. 하지만 취재협력자들의 농장 현지 보고를 통해 그 실체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는 있었다. 협력자들에 따르면 이는 농업 관련 물자거래에 있어서 과거 시장의 역할을 대체하는 목적인 것으로 보인다.

영농물자교류소와 관련한 질문에 함경북도의 협력자 B 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멘트 공장, 옷 공장, 담배공장 등 생산 제품이 있는 곳은 모두 참여할 수 있어요. 거의 장마당처럼 돼 있어서 호미, 삽 같은 농기구도 살 수 있고, 지금 농촌 건설 관련한 시멘트도 거기서 살 수 있어요. 특별히 주문 제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농장이나 개인들도 요청할 수 있어요”

영농물자교류소를 ‘물자교류시장’이라고 표현한 B 씨는 기업뿐 아니라 개인들도 이곳을 아주 요긴하게 잘 이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새로운 식량유통정책은 시장과 계획의 절묘한 타협점을 찾으려는 시도로 보인다. 농장과 개인에게 제한적 자율성을 부여하면서도 국가 주도의 유통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식량 증산과 식량유통 장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시도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이어지는 기사에서는 이러한 정책들이 현지 도입과정에서 어떤 혼란을 불러오는지, 또 한편으로는 농민 사이에서 어떠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지 협력자들의 현지 보고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계속)

※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

북한 지도 제작 아시아프레스

 

<북한특집>김정은이 시도하는 농정 개편의 실체는 무엇인가 (7) 농장 식량 유통의 새로운 틀을 짜다

<북한특집>김정은이 시도하는 농정 개편의 실체는 무엇인가 (6) 불법 경작지 - ‘소토지’ 완전 금지 정책에 농민들은 위기감

<북한특집>김정은이 시도하는 농정 개편의 실체는 무엇인가 (5) 분배 방식 바꿨는데… “계획량은 높고 분배량은 적어” “맥이 풀린다” 농장원들의 하소연

<북한특집>김정은이 시도하는 농정 개편의 실체는 무엇인가 (4) 국가계획 VS 농장원의 생존, 어떻게 나눌 것인가? 분배의 변화

<북한특집>김정은이 시도하는 농정 개편의 실체는 무엇인가 (3) 확장되는 농장의 경영권 “이제 농장이 지주 역할 한다”는 농민도

<북한특집>김정은이 시도하는 농정 개편의 실체는 무엇인가 (2) 농장의 기업화, 법률에 명시 '주체농법'은 폐기됐나?

<북한특집>김정은이 시도하는 농정 개편의 실체는 무엇인가 (1) 농장에서 '협동'이 사라졌다 농업 관련 법규 대폭 손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