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동료가 산에 들어가 자신의 다리를 촬영해 전송해 주었다. 2015년 1월 촬영.

 

올해 설은 1월 말이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북한에 사는 취재파트너들로부터 잇따라 축하 인사의 연락이 사무실로 들어왔다. 기쁜 일이다.

'도대체 북한 내부와 어떻게 연락을 취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내막을 말한다면, 북한 국내에 반입한 중국 휴대 전화를 사용한다. 북한과 중국은 압록강과 두만강이라는 2개의 강을 사이에 두고 국경을 이루고 있어 전파가 북한 측의 수 킬로미터까지 닿는다. 최근 몇 년 동안에는 스마트폰을 투입해 통화나 메시지를 주고 받고 있다. 북한 내의 '동료'는 각지에 사는 남녀 약 10명이다.

사실 나와 같은 방법으로 북한 내부와 연락을 취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탈북해 한국, 일본, 유럽 등에 사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가족이나 친구의 안부를 중국 휴대 전화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 또 국경지역에서 활동하는 밀수꾼에게도 중국의 휴대 전화는 필수품이다.

그런데 이번 설의 축하 연락은 대부분 스마트폰 메시지였다. 음력 설 당시 북한 북부 지역은 폭설이 내린 것 같지만, 사람이 없는 산에 눈을 헤치고 들어가 연락을 준 것이다. 이 시기 기온은 영하 20도를 밑돈다. 추위에 떨리는 언 손을 호호 불면서 메시지를 썼는지, 우리들의 답신에 대한 반응이 상당히 느렸다.
관련기사: <북한내부> 노동단련대 여전히 성피해와 사망자 발생…간부가 수감자 파견해 돈벌이도

◆김정은 정권은 '불법통신' 방해에 혈안

추위 속에 있는 그들, 그녀들이 일부러 산에 들어가는 것은 남의 눈을 피하자는 의도도 있지만, 전파 상태가 좋은 장소를 찾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중국 휴대전화의 사용은 불법이다. 자국민이 외국과 자유롭게 연락하는 것에 대해 북한 정권이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전파 탐지기를 도입해 휴대 전화의 발신지를 탐색하거나, 국경 일대에 방해 전파를 발신해 통화를 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수년 전부터 이 방해 전파는 강화됐다. 중국 측에서도 휴대 전화가 안 되는 도시가 있을 정도다.

산 속이라 해도 '동료'들은 결코 안전할 수 없다. '불법통신'을 단속하는 경찰이 밤낮 가리지 않고 순찰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 페이지: 북・중 국경 지역인 압록강 상류 지점에 설치된 철조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