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은 병원에서도 감염 검사 전무

향후 과제는 코로나바이러스의 2차적 확산 방지다.

감염을 확인하는 검사 키트 기기는 국제 적십자, 유니세프, 국경 없는 의사회 등의 지원에 의해 3월 3주째 들어 마침내 북한에 반입될 전망이다. 북한이 국경을 완전히 봉쇄했기 때문에, 수송 전망이 없는 상태가 이어졌던 것이다.

북한 정부는 3월 17일 현재까지 '감염자 제로'라고 계속 발표하지만, 애초부터 '감염을 검사하는 방법이 없었을' 가능성이 짙다.

아시아프레스의 북한 내부 취재협력자가 중국 국경에 가까운 양강도 혜산시, 함경북도 무산군, 회령시 등에서 실제 병원에 가서 조사하거나 방역 당국자와 접촉했지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검사를 하고 있다는 정보는 한 건도 없었다.

"병원에서 기침이 나오거나 발열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감기약을 처방해서 약국에서 사도록 할 뿐. 그 뒤는 마스크 착용을 지시하는 정도"라는 것이 공통된 진단 내용이다. 1월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소수라도 감염자가 존재한다면, 그 동선을 파악하지 않으면 확대를 피하기 어렵다. 중국을 비롯한 각국 사례를 보면 명확하다. 대만에서 감염자가 적은 것은, 초기 단계에서 중국과의 왕래를 차단한 후 감염 검사 및 정보 공개, 계몽을 확실히 했기 때문이다. 후자를 북한은 전혀 하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 외무성은 2월 26일, 북한의 요청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 1,500개를 기부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당국이 검사 기기를 이미 보내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제한된 양의 검사 키트와 기기를, 북한 당국은 어디부터 투입할 것인가.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건 평양이다. 김정은과 권력 중추 주변, 무역상사 등 외국과 왕래가 있는 기관, 특권층을 위한 의료기관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다음은 중국과의 창구인 신의주, 그리고 군대 순서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감염 검사는 극히 일부 지역과 기관에서만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국제기관으로부터 방역용 물자가 이번 주라도 들어온다면, 드디어 국경 차단의 다음 단계인 감염자의 '동선 파악', 그리고 '클러스터 관리'로 나아갈 수 있다.

즉, 북한 당국이 드디어 국내의 실태를 알게 되는 셈이다. 검사 키트와 기기가 대량 반입된 후 당국의 움직임에 따라서, 외부 세계도 북한 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와 규모를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김정은 정권은 '감염자 제로'라고 계속 우길지 모르지만. (강지원 / 이시마루 지로)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