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내부의 취재파트너와 함께 하는 북한내부 심층조사
  • 日本語
  • English
  • 유튜브
  • 아시아프레스
아시아프레스 북한보도
  • 정치/외교
    • 정치
    • 외교
    • 김정은
  • 경제
    • 경제일반
    • 경제조치
    • 농업/식량문제
  • 사회/인권
    • 사회일반
    • 주민생활
    • 인권
    • IT
  • 군사
  • 내부영상
  • 사진보고
  • 연재기사/특집
  • 잡지 ‘림진강’
  • ホーム
  • 사회/인권
  • IT
  • 최신 기기 입수, 북한도 다채널화 및 시청료 징수... 유입되는 한국드라마에 대항 이시마루 지로

シェア

Tweet

%EC%8B%9C%EC%B2%AD%EB%A3%8C+%EC%A7%95%EC%88%98...+%EC%9C%A0%EC%9E%85%EB%90%98%EB%8A%94+%ED%95%9C%EA%B5%AD%EB%93%9C%EB%9D%BC%EB%A7%88%EC%97%90+%EB%8C%80%ED%95%AD++++%EC%9D%B4%EC%8B%9C%EB%A7%88%EB%A3%A8+%EC%A7%80%EB%A1%9C" onclick="window.open(this.href, 'HBwindow', 'width=600, height=400, menubar=no, toolbar=no, scrollbars=yes'); return false;" target="_blank">

B!
はてブ
Pocket
Feedly
IT
사회/인권
사회일반
추천기사

최신 기기 입수, 북한도 다채널화 및 시청료 징수... 유입되는 한국드라마에 대항 이시마루 지로

2020.06.12

〈푸른하늘〉 세트. 너비가 20cm 정도로, 간단한 기계다. 촬영 아시아프레스

김정은 정권이 예전부터 적대시하고 철저히 단속하던 것이 바로 외부 세계의 영상 콘텐츠다. 2000년대 중반부터, 한국 영화와 드라마의 불법 비디오가 중국을 경유해 대량으로 북한에 유입•복사되어 시장에서 대유행했다.

영향받은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한국식 패션을 흉내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울말'까지 유행할 정도였다. 자국의 몇십 년 동안 바뀌지않는 일족 지배 정치와 몰락하는 경제에 비해 영상 속 한국은 풍요롭고 자유로운 선진국이다. 한국드라마는 민심이 한국으로 기울어지는 요인 중 하나가 됐다.

당황한 북한 당국은 외부 영상의 유입과 확산을 막는데 혈안이 됐다. 각지에서 VCD(비디오 CD)와 DVD 암거래상과 복사 공장 적발에 나섰다. 정치범이 아닌데도 가차없이 교화형(징역형)에 처하는, 중범죄로 취급했다. 검거가 두려워 한국이나 일본으로 탈북하는 사람도 잇따랐다.

또한 함께 진행한 것이 자체 영상 콘텐츠의 다양화와 품질 향상이었다.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화 및 다채널화를 이루어, 외부 문화에 대한 인민의 '호기심의 유혹'을 끊으려고 한 것이다. 우리는 다채널화를 위해 도입된 북한 독자 디지털 튜너 입수에 성공했다. 그 상세와 북한 텔레비전 최신 상황을 보고한다.

북한 애니메이션 〈고구려의 젊은 무사들〉의 한 장면. 조선중앙TV에서 인용

■ 북한의 최신 텔레비전 사정

'수자식텔레비죤 신호변환기'라는 기계를 입수했다. 〈푸른하늘〉이라는 상표다.

2019년 말에 북한의 취재협력자가 사서 보내준 것이다. 국경의 강을 넘어 비밀리에 중국으로 반출, 비행기편으로 한국을 거쳐 일본까지 온 것이다. '수자식'이란 디지털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하면, 여러 채널을 시청하기 위한 디지털 튜너이다.

북한에서는 평양과, 군사경계선과 가까운 개성을 제외하면 〈조선중앙TV〉 1채널 밖에 볼 수 없었다. 주말에 주로 소련이나 동구권의 영화를 방영하던 〈만수대TV〉는 평양에서만 방송됐다. 후술하겠지만, 한국을 의식한 선전방송의 성격이 강한 〈개성TV〉는 평양과 개성에서만 방송됐다.

북한에서는 2012년부터 시험적으로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어 2017년 말부터 디지털 HD방송으로 전환했다. 이 즈음 다채널화가 진행됐다. 현재는 전국에서 4개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다음 페이지: ■ "뉴스 따위 아무도 보지 않는다"
1 2 3
Facebook Twitter はてブ Pocket Feedly
IT, 사회/인권, 사회일반, 추천기사の関連記事
  • <북한내부> 다시 아편 중독 증가, 한편 각성제는 거의 소멸... 이유는? 경찰은 비상 단속
    <북한내부> 다시 아편 중독 증가, 한편 각성제는 거의 소멸... 이유는? 경찰은 비상 단속
    2023.10.23
  •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1)  수확은 작년보다 호전됐지만 흉작인가 심각한 영농 자재 부족으로 한계 (최신 사진 4장)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1)  수확은 작년보다 호전됐지만 흉작인가 심각한 영농 자재 부족으로 한계 (최신 사진 4장)
    2023.10.11
  • <북한내부> 김정은 정권이 또 공개 처형 집행,  9월 하순 양강도에서 전시 의약품 빼돌린 죄
    <북한내부> 김정은 정권이 또 공개 처형 집행,  9월 하순 양강도에서 전시 의약품 빼돌린 죄
    2023.10.07
  • <북한내부> '자살은 반국가・반역 행위'  당국 선전 개시... 남은 친족 처벌 경고 '굶주려 자살해도 반역자인가' 반발의 목소리
    <북한내부> '자살은 반국가・반역 행위'  당국 선전 개시... 남은 친족 처벌 경고 '굶주려 자살해도 반역자인가' 반발의 목소리
    2023.09.27
  • <북한내부> 경제 통제 강화한다는 '포고' 나와... 물자와 외화 유통 강력 단속(3) 드러난 반시장 정책... 개인의 경제활동을 철저히 관리
    <북한내부> 경제 통제 강화한다는 '포고' 나와... 물자와 외화 유통 강력 단속(3) 드러난 반시장 정책... 개인의 경제활동을 철저히 관리
    2023.09.19
  • <북한내부> 민간 의료 근절 작전 개시 '밀고 투표' 실시해 속속 적발... 의료 분야도 국가 통제 부활 노려
    <북한내부> 민간 의료 근절 작전 개시 '밀고 투표' 실시해 속속 적발... 의료 분야도 국가 통제 부활 노려
    2023.09.14
  • <북한 속보> 김정은 정권이 공개 처형을 재개... 8월 30일 양강도에서 9명 총살  동원된 목격자 증언
    <북한 속보> 김정은 정권이 공개 처형을 재개... 8월 30일 양강도에서 9명 총살  동원된 목격자 증언
    2023.09.02
  • <사진보고> 북중 국경을 가다 (2)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두만강・회령-삼합 지역은 마치 분쟁지 탈북도 밀수도 어려워
    <사진보고> 북중 국경을 가다 (2)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두만강・회령-삼합 지역은 마치 분쟁지 탈북도 밀수도 어려워
    2023.08.30
  • <북한내부> 제2의 도시・함흥에서 다수 사망정보  '굶주림과 병으로 죽고 있다. 범죄 늘어 도시는 살벌'  왕래자 증언
    <북한내부> 제2의 도시・함흥에서 다수 사망정보  '굶주림과 병으로 죽고 있다. 범죄 늘어 도시는 살벌' 왕래자 증언
    2023.08.28
  • <북한내부> '밭에 덜 여문 옥수수까지 훔쳐 간다'  농장에서 벌써부터 곡물 도둑 횡행... 경비에 실탄 지급, 군 병사도 투입
    <북한내부> '밭에 덜 여문 옥수수까지 훔쳐 간다'  농장에서 벌써부터 곡물 도둑 횡행... 경비에 실탄 지급, 군 병사도 투입
    2023.08.12
  • <최신사진보고> 두만강 중류의 도문은 무역 재개 징후 보이지 않아... 통상구 관광은 한국인 출입 금지
    <최신사진보고> 두만강 중류의 도문은 무역 재개 징후 보이지 않아... 통상구 관광은 한국인 출입 금지
    2023.08.09
  • <북한내부> 마침내 주택 매매 단속 시작, "비사회주의적 현상 엄중 처벌하라"... 정착된 지 25년 된 '주택 시장' 통제는 혼란 초래할 가능성
    <북한내부> 마침내 주택 매매 단속 시작, "비사회주의적 현상 엄중 처벌하라"... 정착된 지 25년 된 '주택 시장' 통제는 혼란 초래할 가능성
    2023.08.04
  • <북한내부> 재정난으로 경찰도 일시 배급 마비 "5월은 외상으로 살 수밖에 없었다"
    <북한내부> 재정난으로 경찰도 일시 배급 마비 "5월은 외상으로 살 수밖에 없었다"
    2023.08.04
  • <북한내부> 재정난으로 탁아소·유치원 급식 중단... “쌀, 돈 내라” 강요당한 부모들은 제도 이탈로 저항…동네에서 사보육
    <북한내부> 재정난으로 탁아소·유치원 급식 중단... “쌀, 돈 내라” 강요당한 부모들은 제도 이탈로 저항…동네에서 사보육
    2023.08.02
  • <북한내부> 강도 다발에 결국 발포 진압 지시... 군 병사의 범죄도 빈발 '칼로 위협해 자전거, 전화, 옷까지 빼앗아'
    <북한내부> 강도 다발에 결국 발포 진압 지시... 군 병사의 범죄도 빈발 '칼로 위협해 자전거, 전화, 옷까지 빼앗아'
    2023.07.18
  • <북한내부> 다발하는 자살, 김정은 정권은 은폐 위해 정보 통제 철저... 유포한 자는 처벌
    <북한내부> 다발하는 자살, 김정은 정권은 은폐 위해 정보 통제 철저... 유포한 자는 처벌
    2023.07.11
  • <북한내부조사> 지방에서 기근 양상 "5월 들어 굶주림과 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고 있다" (1) 국가 보유 식량 바닥났다
    <북한내부조사> 지방에서 기근 양상 "5월 들어 굶주림과 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고 있다" (1) 국가 보유 식량 바닥났다
    2023.05.19
  • 최고형은 사형 한국식 말투 근절을 노리는 '평양문화어보호법'의 전문 공개
    최고형은 사형 한국식 말투 근절을 노리는 '평양문화어보호법'의 전문 공개
    2023.05.17

powered by Yahoo!

북한시장정보
영상취재
인기기사
E-BOOK 문서자료집
김정은 시대의 중학교 교과서 자료집DVD
추천기사
  •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1)  수확은 작년보다 호전됐지만 흉작인가 심각한 영농 자재 부족으로 한계 (최신 사진 4장)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1)  수확은 작년보다 호전됐지만 흉작인가 심각한 영농 자재 부족으로 한계 (최신 사진 4장)
    2023.10.11
  • <북한내부> '자살은 반국가・반역 행위'  당국 선전 개시... 남은 친족 처벌 경고 '굶주려 자살해도 반역자인가' 반발의 목소리
    <북한내부> '자살은 반국가・반역 행위'  당국 선전 개시... 남은 친족 처벌 경고 '굶주려 자살해도 반역자인가' 반발의 목소리
    2023.09.27
  • <북한내부> 경제 통제 강화한다는 '포고' 나와... 물자와 외화 유통 강력 단속(3) 드러난 반시장 정책... 개인의 경제활동을 철저히 관리
    <북한내부> 경제 통제 강화한다는 '포고' 나와... 물자와 외화 유통 강력 단속(3) 드러난 반시장 정책... 개인의 경제활동을 철저히 관리
    2023.09.19
  • <북한 속보> 김정은 정권이 공개 처형을 재개... 8월 30일 양강도에서 9명 총살  동원된 목격자 증언
    <북한 속보> 김정은 정권이 공개 처형을 재개... 8월 30일 양강도에서 9명 총살  동원된 목격자 증언
    2023.09.02
  • <사진보고> 북중 국경을 가다 (2)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두만강・회령-삼합 지역은 마치 분쟁지 탈북도 밀수도 어려워
    <사진보고> 북중 국경을 가다 (2)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두만강・회령-삼합 지역은 마치 분쟁지 탈북도 밀수도 어려워
    2023.08.30
  • <최신사진보고> 두만강 중류의 도문은 무역 재개 징후 보이지 않아... 통상구 관광은 한국인 출입 금지
    <최신사진보고> 두만강 중류의 도문은 무역 재개 징후 보이지 않아... 통상구 관광은 한국인 출입 금지
    2023.08.09
  • <북한내부> 마침내 주택 매매 단속 시작, "비사회주의적 현상 엄중 처벌하라"... 정착된 지 25년 된 '주택 시장' 통제는 혼란 초래할 가능성
    <북한내부> 마침내 주택 매매 단속 시작, "비사회주의적 현상 엄중 처벌하라"... 정착된 지 25년 된 '주택 시장' 통제는 혼란 초래할 가능성
    2023.08.04
  • Faccbook
  • Twitter
  • 문의
  • RSS
ASIAPRESS All Rights Reserved.
MENU
  • 정치/외교
    • 정치
    • 외교
    • 김정은
  • 경제
    • 경제일반
    • 경제조치
    • 농업/식량문제
  • 사회/인권
    • 사회일반
    • 주민생활
    • 인권
    • IT
  • 군사
  • 내부영상
  • 사진보고
  • 연재기사/특집
  • 잡지 ‘림진강’
WEB SITE
  • 日本語
  • English
  • 유튜브
  • 아시아프레스
6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