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돌려주고 경제적 실리 얻자는 것이 평양의 분위기'라는 간부의 증언
김정일 총서기가 사망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 김정은 시대가 시작된 지 1년 남짓이 지났다. 여전히 북한을 가리는 베일은 두껍지만, 요즘 공식, 비공식적인 움직임과 내부로부터 전해져 오는 정보로 미루어 볼 때, 김정은 체제 이후 대일 정책이 변화하고 있는 징후가 보인다. 아직 판단이 어렵고 추측에 그치는 점이 많지만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20130216_APN_nk_ishi001많은 한반도 전문가들은 김정일의 죽음으로 북일관계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었다. 나도 그 중 한 사람이었다.

북일관계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납치문제의 전진이 있어야 하지만, 그것은 고이즈미 수상과 직접 담판까지 한 '김정일의 안건'이다.

경제 제재를 단행한 일본에 대해 김정일이 '납치문제는 해결 완료'라고 강경하게 나오는 것을 방침으로 하고 있던 이상 그것은 사후 '유훈'이 되어 다른 사람이 변경하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판단 했던 것이다.

또 젊고 경험이 부족한 김정은씨가 아버지의 급사에 의해서 지도자의 자리에 오르게 돼, 체제 안정을 위해 국내문제를 최우선으로 하고 일본과의 문제는 뒷전으로 미룰 것이라고도 예상됐다.

그런데 의외였다. 김정일의 생전부터 준비가 시작되었을지도 모르지만, 4년 만에 북일간 협의가 재개되고 패전 당시에 북조선 지역에 방치된 채로 있던 일본인 유골 발굴 조사가 8월 부터 시작됐다.

북일간 협의는 11월에 국장급으로까지 격상됐다. 당초에는 '일본인 유골' 문제에 북한 측이 적극적이었던 이유가 돈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다. 북미간에 실시된 미국 병사의 유골 수집 사업(한국전쟁의 전사자)에서는 유골 한 구 당 평균 10만 달러가 지불됐고, 북한에 있어서는 좋은 '외화벌이 사업'이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일본인 유골 문제'로 북한으로부터의 금전적 요구는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북일간 협의 재개와 함께 북한은 '납치문제 해결 완료'라는 종래의 완고한 자세를 전환하고 '일본의 관심사도 의논한다'라고 납치문제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그후 12월 '로켓'발사 강행에 의해 북일간 협의는 중단 됐지만, 기본적으로는 '납치문제를 진행시켜 북일 정상화 교섭에 들어간다'라는 방향으로 키를 잡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