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간의 최대 통상구인 단둥-신의주 연락교. 물류는 거의 막혀 있다. 2017년 9월 중국측에서 이시마루 지로 촬영

◆수입하고 싶어도 자금이 없어...

의약품과 의료용품의 대부족 사태는 늦어도 지난해 가을부터 조금씩 드러났지만, 김정은 정권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을 허가하지 않았다. 의료붕괴 사태가 된 지금에야 겨우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협력자가 4월 초에 만난 한 지방 무역상사원에 따르면, 최근 들어 중앙에서 의약품과 의료용품을 긴급 수입하라는 지시가 내려와 "각 상사가 중국 측의 거래대방와 팩스로 연락하는 데 여념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

하지만 압록강과 두만강에 있는 중국과의 통상구는 여전히 봉쇄가 계속되고 있어 평안북도 신의주를 통해 수입하라는 지시가 내려와 있다. 신의주는 통관업무가 중단되지 않았고 방역 설비도 갖추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부기관이 직접 중국 정부와 의약품 조달을 협의하고 있는 점은 충분히 짐작되지만, 이번 무역회사에 대한 지시는 그것과 별도로 대량으로 신속하게 의약품을 국내 공급하기 위한 긴급조치로 풀이된다.

"그러나 문제는 수입 대금 지급이다"라고, 조사한 협력자는 말한다. 1년이 넘는 중국 국경 봉쇄로 업무를 중단해야 했던 무역회사 모두 자금이 없다. 따라서 "대금의 절반은 농산물(주로 한약재) 수출로 상쇄하고 나머지는 후불 조건으로 중국의 업자와 교섭하고 있다"라고 협력자는 말하면서 불안감도 토로했다.

"국가가 수입대금을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각 상사가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는 가격에 전가되므로 의약품의 높은 가격은 유지되지 않을까? 애초에, 후불 조건으로 중국 업자가 약을 팔아줄까?"

덧붙여, 중국 세관 당국이 발표한 올해 1~2월 통관 통계에서는 중국으로부터의 의약품 수입은 제로였다.

※ 아시아프레스에서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