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쟁지로 오해할 정도로 삼엄한 경비다. 하지만, 강을 끼고 마주한 것은 적이 아니다. 가장 큰 우호국인 중국이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침습을 막는다'라며, 김정은 정권은 2020년부터 압록강, 두만강의 경비를 강화했다. 하지만 그 목적은 자국민이 중국으로 도망가거나 월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9월 후반, 아시아프레스 중국인 협력자가 평안북도 삭주군의 농촌 모습을 중국 측에서 유람선에 타고 접근해 촬영했다. (강지원 / 이시마루 지로)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1) 수확은 작년보다 호전됐지만 흉작인가 심각한 영농 자재 부족으로 한계 (최신 사진 4장)

◆ 자국민을 가두는 겹겹의 경비망

9월 후반 촬영한 북중 국경 경비 상황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 북한 국경 경비병의 말을 참고로 덧붙이도록 하겠다. 압록강 상류에서 임무를 맡고 있는 국경경비대 하사관 A 씨다. 양강도에 사는 취재협력자가 8월에 접촉했다. 북한에서는 7월부터 코로나에 대한 통제가 완화돼, 군인이 부대에서 외출할 수 있게 됐다. A 씨는 20대 후반 베테랑 경비대원이다.

A 씨가 근무하는 지역과, 우리가 9월에 중국에서 촬영한 지점과는 국경 경비 방법과 체제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기사 중에서는 A 씨의 설명을 낫표로 표기했다.

사진 1 국경경비대의 경비 초소 부근 설비에 설명을 붙였다. 바로 아래에 압록강이 흐르고 있다.

◆ 감시 카메라와 전기 철조망은 정말 가동하고 있는가?

사진 1은, 국경경비대 경비초소 부근 설비에 관해 설명을 붙인 것이다. 바로 아래에 압록강이 흐르고 있는데, 여러 겹의 구조물이 설치돼 주민이 강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시 카메라는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형태로 보인다.

A 씨 「감시 카메라는 24시간 작동하고 있다. 특히 월경의 경계를 요하는 지점에서는 전담 인력이 계속 모니터를 보고 있고, 영상은 보존돼 상부에서도 볼 수 있게 돼 있다」

고압 전선이 철조망과 병행해 설치돼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북한은 전력 사정이 안 좋은데, 실제로 전기가 통하고 있을까?

A 씨 「전기 사정은 매우 나쁘지만 철조망에는 임의로 전류를 투입하고 있어서 근무하는 경비병도 무서워한다. 비 오는 날에는 감전 사고가 일어날까봐 철조망 쪽에는 가지 않으려고 한다」

양강도에 사는 취재협력자는, '감전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아이들을 철조망 가까이에 가지 못하게 하라고 가끔 당국이 주민에게 통달한다'고 말했다.

사진2 밭 가운데 감시 시설이 세워져 있다. 압록강 쪽으로 향한 것으로 보아 농작물 도둑과 주민의 국경 접근 양쪽을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진 3 사진 2의 클로즈업. 허술한 만듦새로 보아 국경경비대 초소가 아니라 민간인 예비군 무력 '노농적위대'의 것으로 보인다. '노농적위대'는 병사의 행동을 감시하는 것도 임무라고 한다.

◆ 민간 예비군 조직은 군병 행동도 감시

사진 2, 3은 밭 가운데 지어진 감시초소다. 압록강 쪽으로 향해 있는 것으로 보아 작물 도둑과 주민의 국경 접근을 모두 감시하는 것이 목적으로 보인다. 나뭇가지와 잎으로 허술하게 만들어진 것으로 볼 때, 국경경비대의 초소가 아니라 민간인 예비군 조직인 '노농적위대'의 것이다.

즉, 대원은 이곳의 농장원이다. 과거 국경 경비병이 주민들에게서 뇌물을 받고 월경과 밀수를 눈감아 주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병사의 행동을 감시하는 것도 임무 중 하나라고 한다.

사진 4 보위국(비밀경찰)이 관할하는 검문소인 '10호초소'일 것이다. 신분증과 통행허가증, 휴대전화를 주로 검사한다.
사진 5 사진 4의 클로즈업. 검문을 받는 사람의 옷차림을 보면 사무직이겠지만, '평양과 신의주에서 온 간부이거나 무역회사 사람이 아닐까'라고, 사진을 본 탈북자는 해설했다.

◆ 검문의 순간을 찍다

사진 4, 5에 찍힌 것은 병사가 검문하는 모습이다. 보위국(비밀경찰)이 관할하는 '10호초소'일 것이다. 멈춰 선 승합 택시에서 내린 승객이 차례로 검사를 받고 있다. 옷차림을 보면 사무직으로 보이는데, 사진을 본 탈북자는 '평양과 신의주에서 온 간부이거나 무역회사 사람이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10호초소'에서는 신분증과 통행허가증, 휴대전화를 검사한다.

사진 6은, 검문을 통과한 택시가 다리 위를 달리는 모습. 난간에도 철조망이 촘촘히 쳐져 있다.

사진 6 승합 택시가 다리 위를 달리고 있다. 난간에도 철조망이 촘촘히 쳐져 있다.
사진 7 강변에 철조망이 겹겹이 쳐져 있다. 그 뒤의 밭은 아마 완충지대일 것이다. 2020년 이후, 농작업을 하는 주민들도 출입 시 허가를 받아야 하게 됐다. 뒤의 건물은 아파트로 보인다.

◆ 북한 국민은 '새장에 갇힌 새' 상태

사진 7 강변에도 철조망이 겹겹이 쳐져 있다. 그 뒤의 밭은 아마 완충지대일 것이다. 농작업을 하는 주민도 출입 시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20년 8월, 허가 없이 완충지대에 들어간 자는 총격한다는 내용의 포고가 경찰 명의로 나왔다. 뒤의 건물은 아파트로 보인다.

사진 8 강변을 덮은 철조망 뒤로 여성으로 보이는 사람이 걷고 있다. 고압 전선의 설비도 보인다. 뒤의 밭에는 작물 도둑을 감시하는 원두막이 서 있다.
사진 9 철조망 옆길을 여성 두 명이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사진 8, 9는 철조망으로 봉쇄된 '안쪽'을 이동하는 여성들의 모습이다. 고압 전선 설비와 작물 도둑을 감시하는 원두막이 보인다. 사진 10,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은 국경 경비병이다. (계속 6>>)

모든 사진은 2023년 9월 하순 평안북도 삭주군을 중국 측에서 촬영한 것이다. (아시아프레스)

※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

사진 10 등을 보인 사람은 국경 경비병이다.
북한 지도 제작 아시아프레스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1) 수확은 작년보다 호전됐지만 흉작인가 심각한 영농 자재 부족으로 한계 (최신 사진 4장)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2) 수확물은 군대 인도가 최우선 '영양실조 병사가 많으니까' 이례적으로 밭에서 그대로 납입 (최신 사진 3장)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3) 도시에서 오는 '원정 도둑'에 시달리는 농촌은 엄계 태세  농민은 현금 마련에 온갖 고생  (최신 사진 4장)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4) 초망원 렌즈로 촬영한 농촌의 지금 -1 농작업에 동원된 사람들의 모습 (사진 5장)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6)수확 끝나자 대대적 검열 간부 연행해 비리 조사... 반발도

<북한내부> 농장 현지의 최신 보고 (7) 풍작인 감자 수확에 많은 주민 동원하면서… "보관 불량으로 매일 몇 톤씩 썩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