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사진) 시장에서 손님에게 중국산 기성품을 권하는 여성. 현재는 시장에 중국상품이 많이 사라졌다고 한다. 2012년, 평안남도 순천시에서 촬영 김동철 기자(아시아프레스)

◆모든 소비재에 새로운 국정가격 제정

북한당국이 2월 초순경부터 국영상점과 량곡판매소(식량 전매점) 등에서 판매되는 국산 소비재에 '국가 유일가격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복수의 취재 협력자가 전한 바에 따르면, 국산품 품목별 판매 가격이 상세히 안내된 200페이지 분량의 ‘유일가격표’ 책자가 국영상점들에 배포됐다고 한다. 협력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국영 상점에서 판매되는 칫솔, 치약, 신발, 간장, 소금, 식량 등 모든 국산품에 과거처럼 국정가격이 정해졌어요. 다만 가격은 변동이 있을 수 있다해요. 상인들은 앞으로 시장의 거래 가격까지 국가가 결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냐며 걱정하고 있습니다."

◆국산품 우선으로 중국 제품 퇴출 노린다

2019년경까지 북한 시장에서 의류, 신발, 잡화 등 대부분의 일반 소비재는 중국산이 휩쓸고 있었다. 그러나 김정은 정권의 국산품 우선 정책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쇄국정책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소비재 수입이 급감했다. 당국은 국산품을 국영 상점을 통해 판매하도록 강력한 유통 통제책을 취하고 있으며, 이번 '국가 유일 가격제' 도입도 그 일환인 것으로 보인다.

국산품의 유통 현황에 대해 다른 협력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국산품이 중국산보다는 질이 떨어지지만, 그럭저럭 쓸만한 수준입니다. 다만 국영 상점에 항상 물건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입고될 때만 팔고 있어요. (장마당에는)시장 통제가 심해지면서 취급하는 상품이 줄어들었고, 사람들은 점차 상점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국영 상점은 정가제이기 때문에 흥정이나 물물교환도 할 수 없고, 외상도 안 돼서 불편해요." (이시마루 지로 / 강지원)

※ 아시아프레스에서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 국내에 반입해 연락을 주고받고 있다.

북한 지도 제작 아시아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