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발행된 임시 금권인 '돈표'. 사진을 입수한 탈북자로부터 제공받았다.

◆ 기업은 극도로 부진

국영기업이 부진한 주원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책으로 중국과의 국경을 봉쇄해 무역이 크게 침체한 데 있다. 중국에 원재료를 의존해온 기업은 가동이 저하되거나 중단됐다. 위탁가공 생산품과 광물이 중심이었던 대중국 수출도 거의 멈춘 상태다.

또한 과도한 코로나 대책으로 국내의 사람과 물건의 이동 및 유통을 강하게 제한했기 때문에 사람들의 현금 수입이 줄어들어 구매력이 떨어졌다. 물건을 만들지 못하고 팔리지 않으니 시장의 기능이 대폭 축소됐다. 기업 간 물자 유통이 저조해 결제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한다.

협력자들은 현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중국으로의 수출이 멈춰 기업 간 거래 대부분이 사라져버렸다. 겨우 가동하는 공장은 생산물을 시장 상인에게 판매하는 곳 정도다. 생산에 필요한 건 시장에서 현금으로 사야 한다. 하지만 기업도 나라도 돈이 없다. 그래서 '돈표'를 찍은 거라고 생각한다" (A 씨)

"강철 공장 등 몇몇 기업의 경리 담당에게 물어봤는데, 회계상 결제 처리는 은행을 통해 해왔지만 기업들이 은행이 넣을 돈이 없어서 송금도 할 수 없게 됐다고 한다" (C 씨)

"기존의 원 지폐는 개인 사이에서는 돌고 있다. 인민은 국영 금융기관을 믿지 않아서 '돈주(신흥 졸부)'에게만 돈이 모이니 은행이 기능하지 않는다" (B 씨)

◆ 벌써 '돈표' 불신 확산

시중에서는 벌써 '돈표'를 열등한 금권으로 간주해 기피가 확산하고 있다. B 씨는 이 상황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돈표'를 두고 사람들은 코웃음을 쳤다. 그래서 5000원권을 현금 4000원, 3800원 정도로 깎아서 매입하는 환전상이 나오고 있다. 그들은 아직 현금을 가진 기업과 기관에 들고 가서 연줄을 이용해 현금과 바꿔서 차익을 얻는다. '돈표'가 나와서 나라에 돈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됐으니, 무조건 중국 위안이나 미국 달러를 가져야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당황한 당국은 처벌 의사를 내비치기 시작했다. A 씨에 따르면, 인민반회의에 온 관리는 이렇게 고지했다.

"'돈표'는 현재의 난관 때문에 임시로 발행하고 있지만, 현금과 같은 가치가 있다고 나라가 보증한다. 코로나가 끝나고 국경이 열려 화폐 생산이 정상화되면 '돈표'는 회수한다. 이걸 질이 나쁘다든가 앞으로 휴지가 된다든가 하는 유언비어를 퍼트리는 자, 돈표를 매매하는 자는 적발해 처벌한다"

통화의 발행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김정은 정권의 재정난이 악화한 것은 틀림없다. 과도한 코로나 대책의 부작용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아시아프레스는 노동당이 10월 들어 발행한, '돈표'에 관한 '절대 비밀' 지정 문서를 입수했다. 10월 중 그 상세한 내용을 보고할 예정이다.

※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