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넘어간지 얼마 안된 후쿠오카 출신의 한 "재일" 가족. 뒷줄 가운데의 이기자 씨만 한국에 들어왔다. 1960년대 초 (아시아프레스)
북한에 넘어간지 얼마 안된 후쿠오카 출신의 한 '재일' 가족. 뒷줄 가운데의 이기자 씨만 한국에 들어왔다. 1960년대 초 (아시아프레스)

 

[북한으로 돌아간 在日朝鮮人의 삶] 기사일람 >>>

"가족을 탈북시키고 싶은데 도와주세요"

북한의 갑작스런 핵실험이 있고 난 후인 2016년 1월 중순. 한국에서 낯선 목소리의 남성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자신은 수년 전에 한국에 온 탈북자로, 북한에 남겨두고 온 가족들을 어떻게든 찾아 데려오고 싶고, 그를 도와달라는 것이었다. 내 연락처는 다른 탈북자로부터 들었다고 했다.

이런 '이산가족 찾기', '탈북 방조'를 부탁받는 일이 1년에 몇 번 있다. 그러나 나는 일개 저널리스트에 지나지 않는다. 힘은 물론이거니와, 돈도 없다. 누군가가 친 '덫'은 아닌지 경계도 하게 되는 터라, 이와 같은 연락을 받을 때마다 우울해진다. 하지만 연락을 해오는 사람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일 테니, 냉정하게 거절할 수만도 없는 노릇이다.

그 남성에게는 김정은 정권으로 교체된 뒤 중국과의 국경 경비가 한층 강화되어 탈북하기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만큼 어려운 상황이라 나 같은 사람은 감당할 수 없으니 한국의 탈북자 지원단체에 상담해 보는 것을 권했다. 그는 짧은 침묵 후에 이렇게 말했다. “저는 OO현에서 조선으로 건너간 귀국자입니다. 어떻게 해서든 딸을 데려오고 싶습니다. 어떻게든 안 될까요?”

북한 관련 뉴스가 나오지 않는 날은 없지만 귀국사업, 귀국자에 대해서는 보도되는 일도 '자이니치'인 지인과 친구들과의 사이에서도 화제가 되는 일은 눈에 띄게 줄었다. 귀국사업 개시 후 56년이 지나, '먼 과거의 일'로 취급되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세대가 바뀌고 귀국한 사람들과 일본에 남은 '자이니치'간의 관계도 소원해졌다. 먼 과거의 기억, 친족, 지인과 연락이 닿지 않는다더라, 라는 정도의 일인 것이다(영화감독 양영희가 인생을 걸고 귀국한 오빠 가족에 대해 묘사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관련기사: 일본에 사는 탈북자 200명, 신원도 밝히지 못하고 더욱 고독해져 (이시마루 지로)

일본 사회와 '자이니치'가 귀국자에 대한 기억을 잊어가고 있는 것은 그들의 모습이 '가려져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귀국자들이 북한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어떻게 죽었는지는 일본에 전해지지 않고 그 존재와 죽음에 대해서 실감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18년간 중국 등에서 만난 귀국자들에 대해 써보고자 한다.

다음 페이지: 재일 귀국자가 기민(飢民)되어 중국에...